올해부터 도입된 고교학점제는 무엇인가?
올해부터 우리나라에선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되었다.
그리고 해당 제도는 기존의 교육 제도와 비교해 차이가 커 의견이 분분한데, 이번 글에서는 고교학점제의 주요 내용들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1. 고교학점제가 도입된 배경은?
고교학점제가 도입된 배경은 다양한데, 하나씩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1) 기존 고등학교에선 모든 학생들이 동일한 교과목을 이수해야 했고, 이러한 획일적인 교육은 한계를 드러냈다.
2) 진로 중심의 교육이 강조됨에 따라 학생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했다.
3) 4차 산업혁명, AI의 발달 등 급변하는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교육 제도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4) 기존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은 대학 교육과의 연계성이 부족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배경을 토대로 고교학점제가 도입되었다.
2. 고교학점제란?
고교학점제란 학생의 요구에 따라 과목을 신설하고,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여 수강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그리고 이수 학점이 일정 기준에 도달하면 대학교처럼 졸업할 수 있는 제도이다.
3. 졸업 기준 학점은?
학생들은 고등학교를 졸업하기 위해 3년간 192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하며, 교과 과목은 174학점, 창의적 체험활동은 18학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4. 학점이수 인정기준은?
교과 과목의 학점을 이수하기 위해선 2/3 이상의 출석률과 40% 이상의 학업 성취율을 충족해야 하며, 창의적 체험활동은 2/3 이상의 출석률만 충족하면 학점이수가 인정된다.
5. 과목별 점수 산출 방식은?
과목별로 점수 산출 방식은 상이하며, 하나씩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1) 보통 교과 : 절대평가(원점수 표기, 성취도 A-E 표기), 상대평가(5등급제 표기)
2) 사회•과학 융합 선택 : 절대평가(원점수 표기, 성취도 A-E 표기)
3) 체육•예술, 과학탐구실험 : 절대평가(성취도 A-C 표기)
4) 교양 : 절대평가(성취도 P 표기)
5) 전문 교과 : 절대평가(원점수 표기, 성취도 A-E 표기), 상대평가(5등급제 표기)
6. 고교학점제의 장점은?
고교학점제의 주요 장점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1) 학생 스스로 과목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강화할 수 있다.
2) 학생들에게 진로와 적성에 맞는 맞춤형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
3) 학생들에게 다양한 형태의 학습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7. 고교학점제의 단점은?
1) 교육 인프라 및 교사가 부족할 경우 학생들의 요구하는 과목을 개설하지 못할 수 있다.
2) 교사의 전문성이 부족할 경우 효과적인 교육과정 운영이 어려울 수 있다.
3) 진로 결정을 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부담감을 안겨줄 수 있다.
여기까지 고교학점제에 대하여 하나씩 정리해 보았다.
고교학점제는 앞서 언급했듯 기존의 교육제도와 큰 차이가 있어 찬반여론이 갈리고 있는데, 단점 보완을 통해 모든 학생들이 만족하는 교육제도로 거듭났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