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학년제와 자유학기제란 무엇인가?
현재 교육부는 학생들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적성과 소질에 따라 진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들을 펼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선 자유학년제와 자유학기제가 시행되었는데, 이번 글에서는 이 둘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
1. 자유학기제와 자유학년제란 무엇인가?
자유학기제란 중학교에서 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진로 탐색과 다양한 체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필평가를 실시하지 않고 참여형 수업과 프로젝트 중심 수업, 체험활동 등을 운영하는 제도를 의미하며, 자유학년제는 자유학기제를 1년 전체로 확대한 제도를 의미한다.
2. 운영시기는?
자유학기제는 2013년 시범 도입 후 2016년 전면 시행되었으며, 자유학년제는 2018년 시범 도입 후 2020년 전면 시행되었다.
그리고 2025년부터는 다시 자유학기제로 전환되어 운영되고 있다.
3. 적용 대상 학년은?
자유학기제는 처음 도입 당시 중학교 1,2학년 중 한 학기에 자율적으로 운영되었고, 2025년 부터는 중학교 1학년 중 한 학기에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자유학년제는 시행 당시 중학교 1학년 1년간 운영되었다.
4. 수업 및 평가는?
자유학기제와 자유학년제의 수업과 평가는 활동 중심의 참여형 수업과 과정 중심의 수행평가로 이루어져 있다.
5. 장점은?
1) 토론, 협동학습, 프로젝트 학습 등 학생 중심 수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2) 다양한 진로 탐색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6. 단점은?
1) 학교나 지역에 따라 프로그램의 질적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2)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교사의 업무 부담이 증가할 수 있다.
여기까지 자유학년제와 자유학기제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학생 중심의 교육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는 만큼, 우리 교육이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갔으면 한다.